반응형

2023년 8월부터 서울시의 시내버스 요금이 인상되었고 , 9월부터는 지하철 요금도 인상되는데 

교통비도 부담이 되는 것 같아요

그래서 23살 대학생떄부터 지금까지 쓰고 있는 교통비를 한달의 만원할인 받고 있는 신용카드를 소개하려구 해요 

 

교통카드 할인 카드의 종류 

교통카드 할인을 받기 위한 방법은 알뜰교통카드(신용/체크)와 서울지하철 정기권이 있지만 

제가 굳이 신한카드의 B.Big  삑 카드를 소개하고 사용하는 이유는 하나입니다 

  • 연회비 대비 혜택이 좋기 때문입니다 

네이버에 알뜰교통카드를 치면 이렇게 많은 카드가 나오지만 정말 교통비만 할인되는 카드가 대부분이에요

 

알뜰교통카드를 비교해보면

카드 혜택 비교

이 많은 카드 중에서 신한카드의 삑을 계속 쓰고 추천하는 이유는

교통카드이 할인한도가 별도로 있고 할인액도 제일 높다. 

30만원에서 50만원일 기준으로 하루의 200원씩해서 30일로 계산하면 6.200원을 할인 받고 

50만원을 사용했으면 하루의 400원씩해서 12,000원을 할인을 받는데

100만원을 사용했다면 600원 x 30일해서 18,000원 교통비를 할인 받을 수 있다 .

하지만 이 카드는 나는 30만원만 쓸거야 라고 잡아도 , 출퇴근으로  6,200원의 할인을 받고 

택시를 탔을 경우 5천원의 추가할인 한도를 적용받아 택시비도 할인도 받을 수 있어요

서울시택시비가 올라서 부담이 되긴하잖아요? 택시요금에서 10%도 할인을 받을 수 있고

나는 택시는 안타지만 코레일 KTX를 이용한다고 하면 이떄도 5천원 한도에서 10%를 할인받을 수 있어요 

이 카드로 한달의 평균 만원을 할인 받고 있기 때문에 교통비 이상을 할인 받고 있더라구요 

 

7월 달에도 13,800원을 할인받았어요

교통비로 8만원을 쓰고 13,800원을 할인받았어요 

8월에는 이용금액이 적어서 그런지 금액이 좀 줄었긴하지만

그래도 할인은  8500원을 받았어요 

 

 

그런데, 교통비 할인이 끝이냐구요?

아니요 편의점 1,200원을 결제했는데 60도 할인받고

KT 인터넷도 5%도 할인을 받아서 교통비 할인외로 추가로 할인을 받을 수 있습니다

 

 

월 30만원만 사용한다고 하더라도 6200원 - 8400원의 할인을 받으을 수 있고

통신비자동이체도 결제가 되면 5% 결제할인이 적용됩니다

출퇴근하는 수도권 직장인이라면 이만한 게 없는 것 같아요

교통비 할인한도와 생활 한도 한도가 별도로 있으니까

교통비 만원이상을 할인받고 통신요금5% 할인을 받으면 연회비 만원이 아깝지 않아요

 

신용카드는 사실 지출 통제에 위험이 되지만 교통비부분은 통제를 하는 것보다 할인받는게 더 크기 때문에

30만원만 쓰고 교통비 할인받는 것도 좋은 것 같아요

출퇴근용 서브카드로 사용하고 있는데 너무 좋아요 

 

 

 

본 글은 신한카드의 유로광고가 아니며, 카드를 신청하라도 어떠한 금전적으로 저에게 돌아오는것이 없습니다.

카드사용 리뷰의 목적일뿐 , 금융광고가 아님을 명시합니다

 

신한카드 B.Big(삑)

매일매일 가는 길마다 신한카드 교통 Big 할인!

www.shinhancard.com

 

 

 

320x100
반응형

 

나는 지금 의료업계 병원 쪽에서 근무를 하고 있지는 않지만 평소에 발목을 자주 접질리고

깁스와 스프린트를 1년에 10번 이상 하는 그런 타입이라 반깁스, 깁스에 대해 걍 이 쪽이 다쳤을때는

스프린트 반깁스를 처방하는구나 뭐 이런거에 꽂혀서 공부했다.

외래 갔을 때 원장님과 교수님께 물어보고 얻은 지식과 논문과 책에서 공부한 내용을 기반으로 정리하였다.

나중에 까먹을까 봐... 정리했다 친구가 레포트쓰냐고하는데 그런목적은 아니었는데...ㅋㅋ

 

 

부목의 목적과 사용

부목의 목적 - 일반적으로 근골 골계의 뼈의 골절, 인대의 손상 등 다양한 사고 발생 후 움직을 방지하여 환자의 통증과 빠른 치유를 위해

부목을 이용하여 고정 및 지지를 하고 빠른 접합 회복에 대한 목적이 있다.

움직임을 최소화하며 빠른 회복을 위해 부목과 깁스 고정을 시행함

 

깁스 고정 시기 : 통상적으로 깁스의 기간은 최대 1달까지이다.

6주정도도 하는 경우도 있는데 통깁스 시행 시 3주-4주를 넘지 않는다

골절부위나 수술에 따라 달라지긴하는데 보통 한달 이내이다.

예상보다 골절 부위가 회복이 안될 경우는 길게 될 수도 있음

오래했을 경우 근육이 굳어 재활치료 시 환자도 고생이다.

 

 

의학용어로 골절 Fx(Fracture)인 경우에

복합골절, 금,부러짐 등 손상에 시술하는데

금갔을겅우도 골절이고 부러졌을때도 골절이다.

 

부목의 종류와 사용

부목(고 정지 지대)의 일환으로 사용대는 것은 일반적으로 Splint(부목 반깁스)와 Cast(석고붕대) 두 가지이다.

일반적으로는 깁스와 반깁스를 같은 단어로 보는 사람이 많은데, 반깁스와 깁스는 다르다.

 

기브스나 반기브스라고 하는 분들이 많은데

틀린 표현이다 기브스는 Gibbs 일본식 발음으로

정식명칭은 깁스/반깁스다

 

반깁스는 말 그대로 반만 고정하는 형태의 부목이다.

환부의 반만 고정한다해서 반깁스

그래서 반깁스는 깁스로 정의하지 않고 부목으로 정의하기 때문에

상해, 손해보험에서 반깁스는 골절상이어도 보상 대상이 아니다.

깁스(통깁스)는 석고를 이용하여 다리 전체가 고정되는데 이게깁스다.

 

깁스는 석고를 이용하여 고정하는 방식인데, 물에 석고붕대를 적시고 환부에 Pading 하며 경화시키고 고정하는 방식으로

반깁스와 다르개 완전히 굳어 환자가 직접 풀수 없는 구조로 되어있고 통깁스라고 불린다.

석고상이나 손바닥 찍어서 만드는 모형같은 형태로 보면된다.

 

 

깁스(통깁스) 의 방법

깁스는 일반적으로 석고를 감기 전에 스티키넷을 먼저 양말처럼 신고 그 위에 솜 붕대를 감고 진행한다.

이때의 깁스는 부목고정(반깁스)가 아닌 통깁스를 의미함

 

골절이 심하거나 움직임을 최소화해야하는 경우 또는 수술 직후 보통 깁스 고정을 시행함

 

 

깁스의 시행과정

먼저 일반적으로 통깁스라고 불리는 깁스의 과정부터 설명한다.

 

스타키넷이란 관상붕대라고도 불리며 양발형태로 신는 붕대다.

깁스 순서 1. 스타키 넷 착용

2. 솜 붕대로 부위를 감는다.

 

 

3. 솜 붕대로 부위를 감은 후 그 위로 석고붕대를 감아주고 좌우로 눌러주면서 고정시켜주면 깁스의 고정이 끝난다.

이떄 스타키넷과 솜붕대를 감는 이유는 맨 피부에 깁스를 하면 깁스를 제거할 수 없고

피부에 손상이 갈 수 있기때문에 보호목적을 위해서 별도로 하고 착용을 한다.

 

다리 깁스를 하는 SLC(Shot leg cast)의 경우 종아리 끝까지 할 경우 발가락 부분의 종아리 끝을 깔끔하게

몰딩을 하면서 고정시켜야 한다.

 

 

여기서 그럼 깁스와 반깁스의 차이는 뭘까

 

반깁스의 방법

 

다리를 전체를 고정하는 게 아니라 이렇게 반만 부목 형태로 고정하는 것을 의미한다.

 

 

 

저 하얀색 지지대가 반깁스라고 하는 스프린트다

 

반깁스(Splint) 부목의 시술

Splint는 폴리와 유리섬유 재질 두 가지의 방식이 있는데

요즘에는 대부분 폴리 섬유가 사용되지만 유리섬유가

좀 더 무겁고 사용되는 곳도 많다.

유리섬유는 경화(굳기)가 되기 전에 커팅을 했을 경우 모서리가

날카로운 부분을 형성된다고 한다.

 

사진 삭제

사진 설명을 입력하세요.

대략 이런...? 느낌이다 저기에 스치면 따가움

 

유리섬유의 Splint의 경우 경화되는 내부 포켓부분이 이렇게 석고재질로 되어있어서 날카롭다.

 

 

폴리의 재질의 Splint의 경우

 

유리보다는 덜 날카롭고 부드럽다.

 

반깁스 Splint의 종류

 

Splint 스프린트는 롤Roll 타입과 Pre-cut의 Splint가 있다

 

 

Roll Type의 원하는 길이로 잘라서 사용하는

Roll Splint

대표사진 삭제

사진 설명을 입력하세요.

롤타입의 스프린트도 2인치부터 6인치까지 있으며

환자의 부위의 두께, 부위에 따라 적절하게 사용가능

 

 

규격에 따라 잘라있는 Pre cut Splint

(One Stap Splint)로도 불림

5x30 5x45 5x60 같은 길이로 컷팅되어있고

SLS는 5X30이나 4x30을 주로 사용한다

손목의 경우 2인치,3인치를 주로 사용하고

부위별, 환자의 부위에 맞게 6인치까지 사용가능하다

 

Pre-Cut One Stap Splint

 

의료보험이 적용되서 반깁스는 2만원대(압박붕대포함)

통깁스의 경우 2만5천원부터 3만원후반의 가격이다

병원 의원급이냐 종합병원에 따라 비용은 상이하다

 

보통 건강보험처리하면 18760원대로 본인부담금이 처방된다.

 

precut은 SLS냐 LLS냐에 따라서 길이에 따라 비용 수가 (비용)이 결정되는 것 같다

 

 

다리 반깁스의 주의점 : 반깁스(스프린트)를 통한 다리깁스 시 뒷꿈치 욕창의 문제

 

반깁스 시술이나 깁스 시술 시 뒷꿈치가 깁스에 눌려

욕창이 생기는 경우가 있다

욕창발생 시 통증을 유발하고 멍이들거나 피부괴사등의 문재가 발생하시때문에

뒷꿈치의 욕창을 방지하기 위해 솜붕대를 두껍게 감거나, 폼패드를 요즘에는 많이 사용하고 있다,

그냥 처음에 스프린트로 모양을 만들떄 솜붕대를 감소하거나 아래의 폼패드를 하고 모양을 만들고

굳은다음에 다시 붕대를 감으면 뒷꿈치 통증은 그나마 덜하다. 이게 너무 스프린트와 뒷꿈치가 딱붙어도 문제라

 

스프린트 시술시 솜붕대를 두껍게감고 스프린트를 경화 (굳혀야) 욕창이 덜 잘생한다 눌리지않고 여우가 있기 때문.

대학병원급은 다리의 경우 솜붕대를 감고 반깁스를 제작하는경우가 많은 것 같았다.

 

대표사진 삭제

사진 설명을 입력하세요.

반깁스 시 욕창과 뒷꿈치 통증 방지를 위해 사용되는 레노폼힐

 

 

 

반깁스 Splint 하는 경우와 cast 깁스를 하는 경우

반깁스는 골절 부위가 심하지 않거나 많이 부어서 깁스를 하지 못하거나, 깁스를 고정할 만큼 고정이 필요하지 않을 경우

반깁스 Splint 시술을 시행한다

 

깁스(통깁스) Cast의 경우 반깁스보다 더 고정이 잘 되므로 골절 및 인대 손상이 심해 장기간 고정 및 단단한 고정이 필요할 때 시행하고

깁스는 반깁스에 비해 스스로 풀 수 없기 때문에 샤워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먼저 깁스는 상지냐 , 하지에 따라 나뉘는데

상지는 손가락, 손목, 팔꿈치

하지는 발가락, 발목 , 종아리, 무릎, 허벅지정도를 하지라고 한다 .

 

먼지 상지의 부터 정리한다.

 

단하지 깁스 부목의 종류는 여러가지가 있다.

 

Sugar tong splint , Short Arm Splint, Sugar tong Splint, Long arm splint

줄여서 STS, SAS, STS, LAS로 부르기도 하고

깁스의 경우는 Splint 에서 Cast로 바궈 STS,SA,LAC,SAS로 부르기도한다;.

 

1. Sugar tong splint (STS)

설탕 집게 모양처럼 생겼다그래서 붙여진 슈가 스프린트

 

손바닥부터 손등(팔꿈치 시작전까지) 대어 고정시켜는 방식이다.

주로 손목관절의 손상, 골절된 경우 사용된다.

 

사진 삭제

사진 설명을 입력하세요.

이때 팔꿈차와 손목의 각도가 90도가 되어야 깁스 제거 후 불편하지 않는다.

 

손목관절 중에서 골절이 많이 일어나는 골절이 노뼈(척골)의 골절이 많이 일어나는데,

어떻게 골절이 되느냐에 따라서 Colles 골절, Smith 골절로 지는데

Smith 골절일 경우 주로 시행한다고 한다

 

사진 삭제

사진 설명을 입력하세요.

Xray상으로도 보이는 손목이 완전 절반쩍도 꺽이면서 발생한 골절은 스미스 골절이라고 하는데

손목 구조상 손목을 관적을 틀면 손등까지 움직이므로 보통 슈가 스프린트를 사용한다,

 

 

 

2. Dubble Sugar tong splint (DSTS)

사진 삭제

사진 설명을 입력하세요.

Dubble Sugar tong splint 는 주로 팔꿈치의 골절, 손등의 골절 시 주로 시행하며

이때도 손목과 팔꿈치의 각도가 90도를 유지해야한다.

 

 

3. Finger Splint (FS)

사진 삭제

사진 설명을 입력하세요.

 

 

Finger Splint는 손가락에 하는 부목이다.

주로 알류미륨판으로 고정.

 

 

4. Shot Arm Splint (SLS) 또는 Short Arm Cast(SAC)

사진 삭제

사진 설명을 입력하세요.

손바닥부터 손목까지 주로 고정을 할떄 시행하며

손목염좌 손목골절 손바닥손상 팔꿈치 아래 부위의 손상시 시행

 

5. Long Arm Splint (LAS) 또는 Long Arm Cast(LAC)

사진 삭제

사진 삭제

사진 설명을 입력하세요.

고정 위치 : 손목부터 팔꿈치까지 고정

대상: 주로 팔꿈치 관절의 손상이나 근육파열 인대손상

팔등 골절이나 손목골절이 심한 경우에도 시행 행된다.

 

 

6. thumb Spica splint OR thumb Spica Cast

사진 삭제

사진 설명을 입력하세요.

엄지손가락과 손목은 관절이 연결되어 있어 건초염(드퀘르벵) 증후 군이나 손가락 주위 인대 근육손상 시

엄시손가락을 움직이면 손목이 움직이기에 같이 고정한다.

 

스피카 부목은 엄지 손가락을 제외한 다른 손가락을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도록 고정한다.

주로 엄지손가락의 골절, 손목 임대손상, 골관절염, 드퀘르벵 증후군 또는 주상골 골절시 주로 사용된다.

 

 

 

7. radial gutter splint

사진 삭제

사진 설명을 입력하세요.

2, 3번째 손가락의 골절이나 2, 3번째 중수골의 경부, 체부, 기저부의 골절이 있을 경우 시행한다.

 

8. Ulnar gutter Splint Or Ulnar gutter Cast

 

사진 삭제

사진 설명을 입력하세요.

주로 손목 척측, 즉 손목의 새끼 손가락 방향 주위의 염좌나 힘즐염의 손상시 시행하며

단하지로 엄지손가락,검지손가락을제외하고 중지손가락부터 스프린트를 대고 시행한다.

5번째 손가락의 골절이나 4, 5번째 중수골의 경부, 체부, 기저부의 골절이나 인대손상이 있을경우 시행한다.

 

 

 

 

 


다음으로 하지(다리)다.

 

다리에 하는 부목, 깁스의 종류는

3가지로 나눠진다

3가지중에서도 단하지와 장하지로 나뉘는데,

 

 

SLC, SLS 는 단하지 고정

LLC, LLS 는 장하지 고정 말그대로 길다해서 장하지

Cylinder Splint , Cylinder Cast도 장하지이다.

 

 

1. Short Leg Cast Or Short Leg Splint

SLC : Short Leg Cast / SLS : Short Leg Splint

 

말 그대로 짧은 다리 고정이란 의미로 쓰이며 발가락부터 발목, 종아리까지의 고정을 한다,

주요시기 : 발목 골절, 발등 골절, 중족골, 발가락 골절, 인대 파열, 종아리근육 파열

부위에 따라 길이가 달라지는데 무릎 밑까지 하는게 일반적이다.

 

다리(하지)의 반깁스 설명에 앞써 반깁스(스프린트)의 시술과정을 간략히 정리

대표사진 삭제

사진 설명을 입력하세요.

Splint의 사용방법은 진공포장된 스프린트를 개봉하여 물을 적시고 스프린트의 물을 짜내고 환부의 고정하면

15분-20분 이내 굳는다.

대표사진 삭제

사진 출처 : 비엘테크 스프린트 소개 영상

 

다리 기준으로 SLC 또는 SLS 시술 시 골절 부위에 따라 길이가 달라지는데

무릎 밑까지 하는 경우 fibular head(무릎 밒에 있는 비골두뼈) 중앙부터 시작하여 발끝까지 한다.

Splint나 Cast 시술 시 비골 후 뼈가 눌리지 않도록 주의해야 하며

발목의 경우 90도의 각도를 유지한 상태에서 깁스 고정을 올바른 고정이 된다.

반깁스의 각도가 90도가 아닐 경우 뼈가 붙는데 문제가 생긴다.

예외적으로 골절부위에 따라 90도보다 높게하는 경우도 있긴함

 

대표사진 삭제

출처 : 주식회사 덕인 스프린트 소개 영상

필요에 따라 다리 반깁스(Splint)의 몰딩으로 환부에 맞게 제작이 완료된 후에는

발가락의 형태에 맞게 자를 수 있다.

발가락 형태에 맞게 둥글게 커팅 하는 게 깁스 신발을 신거나 이블류에 걸리지 않는 것 같다.

 

반깁스 시술 시 발꿈치 부분과 정강이 부분의 욕창이 생겨서 깁스 중에 피루 괴사 피부가 멍이 드는 증상이

많이 발생하는데 통증이 발생할 경우 빠른 시일에 병원에 가서 재시술을 해야 한다,

간혹 응급실 EM에서 급하게 시술해서 욕창이 생기는 경우도 많이 봄 ㅠㅠ

반드시 각도는 반깁스나 석고 깁스고 90도를 유지해야 한다.

 

간혹 치료방법이나 부위에 따라 90도가 아닌 65도로 등 각도가 바뀌는 경우가 있는데

L자형 90도로 고정이 안되면 걷는 것도 불편하고 힘들다.

 

대표사진 삭제

출처 : 주식회사 덕인 스프린트 소개 영상

 

사진 삭제

사진 설명을 입력하세요.

 

오더에 따라 처방을 내릴 때 용어가 쓰이는데 참고하면 좋다,

 

2. Long Leg Cast , Long Leg Splint (LLC)

LLC는 SLC와 같은 의미에서 그냥 길다 해서

발가락부 터 허벅지 끝까지 고정

아킬레스건 골절이나, 무릎인대 손상, 허벅지뼈 손상 등 움직임을 최소화할 때 고정한다

 

 

사진 삭제

사진 설명을 입력하세요.

 

3. Cylinder Splint

Cylinder Splint 는 발목의 끝부터 무릎의 끝인 허벅지까지 고정하는 방식이다.

무릎의 염좌,무뤂의 인대 손상, 무릎의 골절에 주요 사용

 

LLC(Long Leg cast)가 발가락부터 였다면 실린더는 발목 끝부터 고정한다

 

사진 삭제

cylinder splint

 

대표사진 삭제

사진 설명을 입력하세요.

 

응급실에서 시행한 Cylinder Splint 시행 사진

 

 

사진 삭제

사진 설명을 입력하세요.

이렇게 무릎 손상의 시행하는 고정방식이다,

 

대표사진 삭제

사진 설명을 입력하세요.

양쪽 발목 반깁스도 해봤는데

양발깁스의 경우

대표사진 삭제

사진 설명을 입력하세요.

DSLC 또는 DSLS로 불림

 

DSLS(Dubble Short leg Splint)라고도 하고

DSLC(Dubble Short Leg Cast) 라고도 하는것 같다

 

양쪽 발목이나 인대가 같이 손상되는 경우가 사실 드문데, 한쪽 다리를 다친 상태에서

목발을 짚다가 계단에서 넘어진다던가...교통사고가 나거나 갑자기 툭 떨어져서 다치면 골절이나 인대 손상이 간다.

 

 

 

 

320x100
반응형

 

네이버블로그의 개인도메인 서비스가 2020년 12월 31일 이후로 종료된다고 합니다

 

현재 블로그 도메인은 아래 3가지 방식으로 지원해드리고 있는데요,

① blog.naver.com

② blog.me

③ 개인도메인

브라우저 쿠키 보안 정책 변경에 따라,

2021년 1월 부터 네이버 도메인 주소(blog.naver.com)만 사용 가능합니다.

※ 2021년 1월 부터 네이버 도메인 주소(blog.naver.com)를 제외한

나머지 주소로 접근 시 블로그에 정상적으로 연결되지 않습니다.

 

== 네이버 공식블로그 본문 출처 ==

 

 

이게 무슨 소리냐하면

대표사진 삭제

사진 설명을 입력하세요.

도메인의 주소를 개인 도메인으로 설정 한 경우 의미가 없어진다.

 


네이버의 기본 도메인 : http://blog.naver.com/네이버아이디 (O 이것만 사용가능)

네이버id.blog (x) 사용불가

개인도메인 (naverblog.com) (x 사용불가)


간단하게 말하면

이게 변경되는 사유가 구글크롬의 쿠키정책변경에 따라서

네이버도 그걸 맞춘다는데

굳이 왜 크롬에....???

 

 

Adobe Target 및 Google의 SameSite 쿠키 정책

Google Chrome 버전 80부터 도입되는 Adobe Target 및

SameSite IETF 표준에 대한 정보입니다.

 

 

네이버가 밀어부치는 웨일이 크롬기반이라고 하지만

굳이 기존 사용자의 불편을 초래하면서 까지 바꿀이유가...?

 

지난 2월부터 네이버는 쿠키

변경 적용을 실시했습니다.

 

올해 12월31일까지는 blog.me 및 개인도메인을 이용하여 블로그에 접근 시

네이버 도메인 주소(blog.naver.com) 형식의 주소로 이동시켜준다고

명시를 했는데

 

이게 무슨 소리냐면

 

도메인은 DNS(Domain Name Server)라고 해서

주소를 변경해주는 것을 위미합니다

 

A(나 blog.naver.com/blog11) -> B blog234.blog.me 로 바궈 줄게

이것도 도메인 서버스의 일종이고

A(나 naver.com/blog11) -> B (iloveyou.com )를 해주는게 도메인인데

 

원래는 blog.naver.com의 주소는

125.209.214.79 이런 IP형식의 주소다

 

간단하게 숫자의 주소를 영어형식으로 바궈주는게

DNS 도메인서비스인데

네이버에서 쿠키정책변경으로 이제 그게 안된다는게 됩니다

 

핸드폰번호가 그냥 018에서 010으로 바구는데 우리꺼 아니면 안되

이런...

 

간략하게 이렇게 이해하면 됩니다.

대표사진 삭제

사진 설명을 입력하세요.

나는 blog.xxxx.co.kr에

125.209.214.79 이 주소 네이버의 주소를 연결해주는건데

 

이게 이제 안된다는 소리다 .

 

 

현재까지는 정상적으로 개인도메인에 네이버에서

리다렉션(자동으로 링크연결해주는것)을 해주고

있기때문에 연결은 되고 있지만

아마도 내년부터는 연결이 이렇게 안될 거라는 거죠

 

 

 

대표사진 삭제

사진 설명을 입력하세요.

이렇게 검색 할때 노출되는 주소가 의미가 없게 된다

 

명함에 블로그링크를 넣었다던가

 

 

사진 워터마크에 이렇게

도메인링크를 넣었다면

내년부터 페이지가 안뜬다.

 

즉 노출이 되도 안들어가진다는 것이니

상당히 파격적인 내용일 수 밖에 없다

 

 

 

쿠키란 사용자가 특정 홈페이지를 접속할 때

생성되는 정보를 담은 임시 파일인데

특정 사이트를 처음 방문하고 로그인할때 쿠키가 생정되어 브라우저에 저장을

하거나 캐쉬파일이 남게되는데

보안상의 이유로 구글과 보안업계는 HTTPS 보안프로토콜과

쿠키가 도메인안에서서만 남도록 을 권장하고 있는데...

 

걍 이런 개발,보안론적인 이야기를 집어치우고

네이버는 HTTPS를 제공해야 되기때문에 치운다는 것이다.

 

타사블로그 티스토리는 HTTPS SSL을 무료로 제공하며 도메인 등록시 리다렉션을 시켜주지만

네이버는 그런 시스템이 안된다. 꾸준히 문의를하고 요구했지만 할 수 없다고 했고

결국엔 쿠키...핑계다

 

 

티스토리 블로그의 경우는 

티스토리는 HTTPS 와 개인도메인 인증서를 제공한다.

 

 

네이버도 그냥 SSL인증서 제공해서 cdn으로

리다이렉션 시키면 되잖아...요..

 

티스토리는 해당 쿠키정책에 대해서는 도메인방식을 그대로

제공한다고 합니다.

 

ssl을 별도로 안사도 되고 티스토리는 2017년부터 제공을 하고 있다

 

 

 

결론 : 워터마크나 포스팅에 되있는 링크들을 바구거나

해야하는 엄청난 노가다가 시작된다.

 

네이버의 빅픽쳐는 무엇일까요...?

 

그럼 오늘 다들 조심히 주소 유의하세요

 

320x100

+ Recent posts